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2

프로그래밍 이해하기, 컴퓨터의 이해, 인텔리제이 단축키 1. 프로그래밍 ㅇ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라고도 한다. 앱이 웹을 기반으로 구동되면 그 앱은 웹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한다. 프로그래밍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 컴퓨터 명령문의 집합체 ㅇ 프로그래밍 -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 ㅇ 프로그래밍 언어 - 컴퓨터 언어와 인간의 언어를 매개해주는 언어 ㅇ 컴파일 -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과정 ㅇ 빌드 - 소스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산출물로 변화시키는 과정 ㅇ 통합 개발환경(IDE) -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 2. 컴퓨터의 이해 ㅇ 컴퓨터란, 입력받은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대로 처리해서 처리 결과르 ㄹ저장하고 출력하는 전자 장치이다. ㅇ 소프트웨어 - .. 2022. 10. 24.
OT-메타인지, 페어프로그래밍, 학습전략 22.10.20 부트캠프가 시작되었다. OT에서 배운것들을 정리해보겠다. 1. 메타인지 생각에 관한 생각, 자기주도학습의 열쇠로 정리할 수 있다.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자신이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개인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이다. 리사 손 교수는 메타인지를 세가지로 정리했다. ㅇ 자기 자신을 보는 거울 ㅇ 스스로를 믿는 능력 ㅇ 나의 완벽하지 않은 모습을 인정하는것 메타인지를 위해 회고를 해야한다. 다시말해 블로그에 배운것을 작성하며 내가 무엇을 아는지 모르는지를 아는과정이다. 2. 페어 프로그래밍 정처기에도 나왔던 개념이다. 짝 프로그래밍이라고 하고, 짝과 함께 프로그래밍을 진행해 가는것이다. 진행과정은 이렇다. ㅇ 스스로 개념을 정리한다. ㅇ 연락을 해 일정을 맞춰.. 2022. 10. 24.
7.29 공부 Chapter3 1. 연산자와 피연산자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 x + 3 에서 연산자는 "+", 피연산자는 "x"와"3" 대입연산자를 같이 사용해 변수같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에 결과를 저장한다. 2. 연산자의 종류 산술연산자 - +, -, *, /, %, 비교연산자 - >, =, 오) x = y = 3(결합규칙 오->왼) 산술 > 비교 > 논리 > 대입 순으로 수행됨. 단항 > 이항 > 삼항 순 단항 연산자와 대입연산자를 제외한 모든 연산자의 방향은 왼->오 4. 증감 연산자 ++, -- 각각 1증가, 감소 시킨다. 전위형 - ex) j = ++i; -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 후위형 - ex) j = i++; - 값이 참조된 후에 증가시킨다. 5. 형변환 연산자 (타입)피연산자 - 형변.. 2022. 7. 30.
7.28공부 chapter2 변수 1. print 와 println- print() -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하지 않음. println() -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함. 2. 변수의 선언 변수타입 변수이름; ex) int x; 변수에 값을 저장할땐, x = 5; 이런식으로 저장하고 그 밑에 x = 3;하면 5라는 값은 사라지고 3이 저장된다. 3. 변수의 타입 정수형: int , long 실수형: float, double 문자형: char, String 4. 상수와 리터럴 상수는 변수와 선언하는 법은 같지만, 한번 값을 지정하면 변경불가능하다. 변수의 타입 앞에 final을 붙히면 된다. 5. 기본형과 참조형 기본형 - 논리형(boolean), 문자형(char), 정수형(byte, sho.. 2022.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