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2 H-Index 문제를 얼핏봤을때 아ㅋㅋ쉽네 생각했는데 코드로 짜보려고하니깐 정말 힘들었다. 분명 잘만 생각해보면 코드는 쉬울거같은데 그 잘만 생각해보는게 너무나도 힘들었다. 결과적으로 h이상인게 h개일때, h의 최댓값을 구하면 되는데 한시간반동안 고전하다가 풀게되었다.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citations) { Arrays.sort(citations); int n = citations.length; for (int i = 0; i = h) { return h; } } // h-index를 찾을 수 없는 경우, 0.. 2023. 10. 13. 숫자의 표현 흠..처음에 이걸 어떻게 풀어야지 싶었다. 모든 경우의수를 생각해야하는줄 알고 막막했다.. 하. 지. 만. 자세히 보니, 연속한 자연수들로 표현하는거였다. 역시 문제를 자세히 읽어야한다... 그래서 이중 반복문으로 쉽게 풀었다. 첫번째 반복문으로 i는 1부터 n까지 반복하고 두번째반복문으로 i를 n까지 반복. sum은 n이랑같으면 경우의수(answer)++ 한다. 다르면 탈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int answer = 0; for (int i = 1; i 2023. 10. 12. 영어 끝말잇기 먼저 코드를 이렇게 짰다.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HashSet; import java.util.Set;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String[] words) { int[] answer = {0, 0}; int idx = 0; Set set = new HashSet(); for (int i = 0; i = 1){ if(words[i-1].charAt(words[i-1].length()-1) != words[.. 2023. 10. 11. https 를 적용해보자! 먼저 http와 https의 차이가 뭘까? 바로바로 s가 붙었다는것이다! 그렇다면 s는 무엇을 의미할까? 바로바로 Security다. SSL/TLS 인증서를 받아야 한다.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 보안 및 데이터 암호화: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데이터를 평문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음.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아 누군가가 데이터를 가로채면 그 내용을 읽을 수 있음. HTTPS (HTTP Secure): HTTPS는 HTTP의 보안 버전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함. 이는 SSL (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한다. 따라서 중요한 개.. 2023. 10. 11.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