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2

핸드폰 번호 가리기 실제로 서비스를하다보면 이런 기능을 구현해야할것같다. 어떻게 해볼까 생각하다가 그냥 쉽게 split해서 배열로 바꾸고 마지막 4자리빼고나머진 다 *로 바꾸고, 다시 배열을 String으로 바꿔야겠다 생각했다. public static String solution(String phone_number) { //phone_number 를 하나씩 자르기위해 배열로만듬 String[] phone = phone_number.split(""); //마지막 4자리빼고 *로 만듬 for(int i = phone_number.length()-5; i >= 0; i--){ phone[i] = "*"; } //StringBuilder 객체 생성(배열을 String으로 만들기위해) StringBuilder stringBuild.. 2024. 1. 18.
없는 숫자 더하기 0~9까지라길래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서 해보려했다. int[] num = {0,1,2,3,4,5,6,7,8,9} 해서 하나씩 비교하고 없으면 어떻게 해보려했는데 생각보다 너무 안됐다. 그래서 노트를 꺼내서 생각해보자마자 0~9까지 더한수에서 인수로 주어진numbers 의 원소들의 합을 빼면 되는구나! 싶었다. 0~9의 합은 45. 예를 들어 numbers = {5,8} 이면 45 - 13하면 되는거였다. 뻘짓을 하고있었다 나는... 크흠 그래서 내 풀이를 보자면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numbers) { int answer = 0; for(int i = 0; i < 10; i++){ answer += i; } for(int j = 0; j < numbers.length.. 2024. 1. 17.
CASE문, WHERE절 ㅇ CASE문 CASE문은 조건문이라고도 불린다. 함수는 아니지만 함수의 역할을 대신해 조건을 만족할 시 특정값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CASE WHEN 조건1 THEN 출력1 WHEN 조건2 THEN 출력2 ELSE 출력3 END 이렇게 쓰인다. SELECT sales_amount , CASE WHEN sales_amount 0 THEN '정상거래' END AS 적용결과 FROM sales sales_amount 적용결과 -30000 환불거래 90000 정상거래 40000 정상거래 이런식으로 쓰인다. ㅇ WHERE 절 FROM절에 작성한 테이블에서 원하는 데이터(행)만 필터링 할 수 있도록 조건을 줄때 사용함. SELECT * FROM 테이.. 2024. 1. 16.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향상된 for문 꿀팁 idx++) 배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문제였다. 레벨1치고 고전했던 문제다. 현타가 좀 왔다.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arr, int divisor) { int[] resultArray; // 나누어 떨어지는 값 개수 계산 int count = 0; for (int num : arr) { if (num % divisor == 0) { count++; } } if (count == 0) { resultArray = new int[]{-1}; } else { // 나누어 떨어지는 값이 있는 경우 배열에 담고 정렬하기 resultArray = new int[count]; int index = 0; for (int num : arr) { if (num % divisor == 0) {.. 2024.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