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2 JavaScript 의기본문법을 알아보자.(빠르게) 이번에 회사에서 Node.js로 개발한 모바일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부분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아예 할줄 몰라서 공부가 좀 필요하다 느끼고 공부를 해보겠다.나는 여지껏 java로만 개발을 해와서 다른 언어가 어떤식으로 작동하고 어떤문법을 가지고 있는지 감이 없다. java는 객체 지향 언어로 굉장히 딱딱정해주고 딱딱 맞춰서 개발해야하는 느낌이지만 javascript는 그렇지않다고는 알고 있었다.한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기본 문법ㅇ 변수 선언let x = 10; //값 변경 가능const y = 20; //값 변경 불가능var z = 30; //예전 방식java에선 int, char 등 이렇게 타입을 지정해야하지만, javascript에서는 동적 타입이라 자동으로 타입이 결정된다고 한다.참 편리해보인다. ㅇ.. 2025. 3. 3. Spring Cloud - MSA 이전에 몇개의 포스팅에서 msa 에대해 많이 알아봤다.다시한번 훑어 보고 가보자. ㅇ MicroService? 모놀리식 구조는 한 프로젝트 내에 모든 서비스가 같이 존재해, 한서비스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서비스까지 멈추는 그런 구조고, 우측의 msa는 한 프로젝트가 다양한 서비스로 나뉘어서 서비스간 통신하며 한 서비스에서 장애가 나도 다른서비스는 정상작동이 되는 구조다. ㅇ Cloud Native Architecture2010년대 이후부터 IT시스템은 anti-fragile 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ㅁ Anti-fragile : 충격이나 변화에 손상되지 않고 오히려 강해지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시로는 오토 스케일링(클라우드 환경에서 트래픽이 급증하면 자동으로 더 많은 .. 2024. 10. 20. supabase? 가 뭘까? 맛좀 보자. https://www.youtube.com/watch?v=FbLzqoENTsg&t=128s생활코딩님의 영상을 보고 정리를 해본다. 간단하게 Supabase가 뭘까? 왜쓸까?애플리케이션에서 백엔드 개발에는 DB, 업로드한 파일을 보관할 파일서버(스토리지), 회원가입,로그인로그아웃을 위한 인증기능(Auth), 프로그래밍을 위한 Edge Function 이 있다. 이처럼 애플리케이션에 백엔드를 위해서 필요한 기능만 빼놓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바로 Supabase라는 것이다. Supabase를 검색하면 가장 많이 뜨는 관련검색어는 구글의 FireBase다. 둘의 가장 큰 차이는Supabase의 DB가 PostgreSQL(관계형) 이라는 것이다. Supabase는 포스트그레SQL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파이어베이.. 2024. 10. 18. Two-phase commit 이란?(2PC) 최근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포에서 문제를 겪었다. 정확히는 내가 로컬에서 코드를 고치고 커밋하고 푸쉬까지 하면 SourceTree에서 보이긴 하지만 배포할때 쓰이는 이미지엔 반영이 안되는것이었다. 내가 고전하고 있을 때 대표님이 로컬에서만 푸쉬한거아냐? 원격저장소에도 푸쉬를 해야지~ 라고 하시고 2pc 에 대해 공부해오라는 과제를 내주셨다. 먼저 2pc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Two-phase commit이란?MSA, 분산 데이터베이스, 분산 파일 시스템과 같은 분산 트랜잭션 환경에서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트랜잭션 관리 프로토콜이다. 정처기 할때 공부했던 트랜잭션의 ACID 특징중 원자성(Atomicity)을 보장 해준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도 .. 2024. 10. 16. 이전 1 2 3 4 ··· 58 다음